메뉴 바로가기
주메뉴 바로가기
컨텐츠 바로가기
주식회사 큐라티스

인류의 공중보건에 앞장서는 소셜임팩트 기업이 되기를 희망합니다.

결핵기사

한국 결핵 발생률‧사망률, 여전히 OECD 1위
관리자|2019-10-28 조회수|1,086

한국 결핵 발생률‧사망률, 여전히 OECD 1위

 

2018년 결핵신환자 2만6400명, 일평균 72명…남인순 의원 “고위험군 검진 강화해야”


 

우리나라에서 지난해 매일 72명의 결핵환자가 새로 발생하고 5명이 사망하는 등 정부의 결핵 퇴치 노력에도 불구하고 결핵 발생률과 사망률이 여전히 OECD 1위인 것으로 확인됐다.

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은 질병관리본부와 결핵협회의 관련 자료를 분석해 이같이 공개했다.

남 의원에 따르면 지난해 결핵 환자 수는 3만3,796명, 인구 10만명당 환자율은 65.9명이고, 신환자는 2만6,433명, 사망자는 1,800명으로 하루 평균 72.4명의 결핵환자가 새로 발생하고 4.9명이 사망했다.

이에 대해 남 의원은 “WHO의 ‘Global Tuberculosis Report 2018’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우리나라는 10만명 당 결핵발생률이 70명, 사망률이 5명으로 OECD 35개 회원국 중 1위이며 OECD 평균 10만명당 결핵발생율 11.1명, 사망률 0.9명과 비교조차 할 수 없다”면서 “2위인 라트비아의 10만명 당 결핵발생률 32명, 사망률이 3.7명과도 차이가 크다”고 밝혔다.

남 의원은 “다만 2018년 7월 OECD에 새로 가입한 유럽 동북부에 위치한 리투아니아의 2017년 10만명 당 결핵발생률이 50명, 사망률 6.1명으로 파악돼 리투아니아에 비해 10만명 당 결핵발생률은 우리나라가 높고, 사망률은 리투아니아가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”고 덧붙였다.

남 의원은 “우리나라의 결핵신환자 발생 추이를 보면 2012년 3만9,545명에서 2018년 3만3,796명으로 감소해왔으며 10만명당 78.5명에서 51.5명으로 줄었는데, 여전히 높은 수준”이라며 “결핵사망자수도 2012년 2,466명에서 2018년 1,800명으로 감소 추세에 있지만 10만명 당 3.5명으로 여전히 높다”고 지적했다.

남 의원은 “현재 이용 가능한 치료제에 내성을 보여 치료가 어려운 다제내성 결핵 및 광범위내성 결핵 환자도 2012년 각각 1,212명, 158명에서 2018년 각각 518명, 37명으로 감소했지만 OECD 회원국 중에서는 환자수가 가장 많다”고 덧붙였다.

남 의원은 “문재인 정부가 범정부 대책을 마련해 2030년까지 결핵퇴치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”며 “집단시설 종사자와 취약계층 등 고위험군에 대한 결핵 및 잠복결핵 검진을 강화해 결핵감염을 사전 예방하고 조기발견, 치료 및 환자 관리 등의 대책을 강화해 후진국형 감염병인 결핵을 퇴치해야 한다”고 강조했다.

남인순 의원은 “국내 잠복결핵 검진사업 추진 결과 2017년 121만명, 2018년 48만명에 대해 검진한 결과 양성률이 각각 11.6%, 5.6%로 나타났다”며 “집단시설 종사자와 고위험군에 대한 잠복결핵 검진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양성자에 대해서는 선제적 투약을 통해 결핵발병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”고 덧붙였다.

한편 질병관리본부와 결핵협회가 남 의원에게 제출한 ‘집단시설 종사자 등 일부 대상 잠복결핵 검진사업 결과’에 따르면 2017년 120만6,775명을 대상으로 잠복결핵감염 검진사업을 실시한 결과, 양성자수는 14만506명으로 11.6%의 양성률을 보였다.

지난해에는 47만8,010명을 대상으로 잠복결핵감염 검진사업을 실시한 결과, 양성자수는 2만6,697명으로 5.6%의 양성률을 보였다. 

지난해 잠복결핵 검진 결과를 대상자별로 살펴보면, 양성률이 교직원 20.0%, 어린이집 종사자 18.6%, 의료기관 종사자 10.9% 순으로 높았다.

또한 2017년의 경우 교정시설 재소자 34.0%,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27.7%, 산후조리원 등 22.5%, 어린이집 종사자 19.3%, 의료기관 종사자 17.5%, 유치원 교원 15.2% 등의 순으로 양성률이 높았다.

질병관리본부는 금년에도 집단시설 종사자 등 잠복결핵감염 검진을 시행 중에 있으며, 대상자는 의료기관 종사자 10만1,000명, 병역판정검사 대상자 33만명 등 약 43만명이다.